반응형
블록암호 운용 방식
- 암호학에서 블록 암호 운용 방식은 하나의 키 아래에서 블록 암호를 반복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하게 하는 절차를 말한다. 가변 길이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블록 단위로 나누었을 때 그 블록들을 어떻게 암호화할지 정하기 위한 운용 방식이다.
1. ECB (Electronic Codebook)
-가장 단순한 모드. 블록단위 블록암호
-암호문이 블록의 배수가 되기 때문에 복호화 후 평문을 알기 위해서 Padding 필요
-각 블록이 독립적이므로 한 블록에서 에러가 발생해도 다른 블록에 영향을 주지 않음.
-병렬처리가 가능
2. CBC (Cipher Block Chaning)
-병렬처리 불가능
-암호문이 블록의 배수가 되기 때문에 복호화 후 평문을 얻기 위해서 Padding을 해야한다.
-깨진 암호문의 해당블록과 다음 블록의 평문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.
3. CFB (Cipher FeedBack)
-패딩 필요없음
-스트림 암호 변경가능(비동기식)
-DES, AES 사용
4. OFB (Outer FeedBack)
-전송 중 비트의 오류전파 발생하지 않음
-블록 암호를 기반으로 한 스트림 암호(동기식)
-초기치가 바뀌면 암호문은 모두 바뀐다.
5. CTR (CounTeR)
-스트림 암호의 일종
-병렬처리 가능
반응형